축구문화와 역사 (Soccer culture & history)
축구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국가별 축구 문화와 명문구단의 역사를 통해 축구 변천사를 학습한다.
축구기본기술Ⅰ,Ⅱ (Soccer Basic SkillsⅠ,Ⅱ)
축구의 기본 기술에 필요한 드리블 기술과 테크닉의 구성, 패싱과 서포트 플레이, 슈팅, 헤딩, 컨트롤링 등에 관련된 내용을 연구 학습한다.
인체기능해부학 (Human Functional Anatomy)
신체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인체의 구성 요소를 알아야한다. 신체의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신체의 움직임이 형성되는 조건과 신체의 에너지 시스템을 학습한다.
경기규칙 및 심판실기 (Rules in the match & Referee practice)
축구 경기규칙을 숙지하므로써 경기를 하는 데 도움을 주며, 안전하게 축구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경기규칙 이론과 실기를 겸비하여 축구경기를 진행할 수 있도록 중점을 둔다.
유소년축구지도법 :D급과정 (Youth Soccer Training Coaching)
유소년에게 알맞은 축구 훈련 개념과 방법 습득 및 유소년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학습한다.
축구기본기술Ⅱ (Soccer Basic SkillsⅡ)
3급 지도에 필요한 수비플레이와 기본전술들과 전략, 볼 키핑, 공격플레이, 미니게임들, 11대 11에서 팀 조직, 수행사항을 점검하여 학습한다.
축구생리학기초 (Soccer Physiology Basic)
인체가 축구를을 할 때의 상태를 계통적으로 연구 분석하고 그 법칙성을 밝혀 축구선수에게 필요한 생리학적 요인들을 과학적으로 터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축구영어 (Soccer English)
축구심판과 지도에 필요한 전공영어를 소개하고 원서를 통한 외국 축구정보 입수 및 정보 활용을 위한 연구 및 학습에 중점을 둔다.
축구 코칭론 (Soccer Coaching)
엘리트스포츠 지도자로서 갖추어야 할 인지적, 심리적 정의적인 측면에서의 필수적인 요소들을 알며, 이를 바탕으로 축구 2급 코치의 지도법을 중심으로 훈련과 코칭의 요구사항, 워밍업 훈련, 훈련의 원칙, 코칭실습을 실천하여 과학화와 다양화를 경험 한다.
축구행정 및 정책 (Soccer Administration & Policy)
축구행정의 절차와 방법을 소개하고 축구의 발전에 필요한 정책 수립과 수립 근거를 연구한다.
축구고급기술 I (Soccer High SkillsⅠ)
축구의 여러 기술을 이해하고 패스와 서포트 기술, 롱패스, 볼 소유의 사용과 발전, 경기시스템과 전술의 소개 및 개인과 조합 플레이를 통해 공격전술을 연구 학습한다.
축구고급기술 II (Soccer High SkillsⅡ)
2급 코치의 고급기술을 습득하기 위한 과목으로 비디오를 통해 골득점 상황을 소개하고 여러 상황에서 득점방법과 개인과 조합된 수비기술, 개인 및 팀의 압박, 측면에서의 공격방어, 팀수비에 대한 내용을 익힌다.
축구고급기술 Ⅲ (Soccer High Soccer III)
축구의 여러 기술을 이해하고 패스와 서포트 기술, 롱패스, 볼 소유의 사용과 발전, 경기시스템과 전술의 소개 및 개인과 조합 플레이를 통해 공격전술을 연구 학습한다.
축구 마케팅 (Soccer Marketing)
실제 마케팅 전략기획의 연습을 통한 학문적 및 실용적 스포츠 마케팅의 개념을 이해하고 그 응용력을 향상시켜 축구시장에서의 폭넓은 마케터를 기본 소양을 배운다.
축구기본 영어회화 (Basic English Conversation for Soccer)
축구 전공자로서의 소양을 갖추고 회화능력 향상에 따라 현 시대가 요구하는 글로벌리즘 체제를 경험토록 한다.
축구 의학 (Football medicine)
축구의 신체적 활동으로 발생하는 육체적, 정신적 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 등에 관해 학습한다. 손상과 예방에 대해서 의학적 접근 방식을 이해하고, 치료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과 접근 방향을 학습한다.
축구영상분석 (Soccer Video Analysis)
선수들의 운동하는 동작을 영상으로 기록하여 그 영상을 과학적인 분석 통하여 팀의 전술을 평가하고 발전시키며 선수 개개인 사소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고 분석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축구데이터분석 (Soccer Data Analysis)
기초 통계방법을 기본적으로 습득이하고 이를 이용하여 축구경기에서 생성되는 양적자료를 분석한다. 축구경기의 과학적인 내용분석, 체계적인 기록 방법 그리고 컴퓨터화된 경기 분석 시스템에 대하여 이해한다.
웨이트 트레이닝 (Weight Training)
부하운동의 원리를 이해하고 개별트레이닝과 연령대별 트레이닝기준을 학습하며 근육시스템과 운동, 신체단련과 계획조정의 요소, 축구선수에게 필요한 지구력, 근력, 스피드와 유연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축구 심리학 (Soccer Psycology)
축구경기지도에 필요한 여러 가지 심리적 요인인 성격, 불안, 동기, 주의와 경기력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지도법 일환으로 스포츠 심리기술, 리더십과, 응집력 등을 학습한다.
축구기술분석
지도자, 선수에게 필요한 축구경기의 분석 형태와 경기 관전법, 국가리그 경기를 분석하도록 하며 경기를 읽어내는 방법과 포워드 수비임무 및 경기분석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체력평가와 처방 (Fitness Assessment and Exercise Prescription)
인간의 형태와 그 형태 및 유형에 따른 신체적 영역을 효율적으로 측정, 검사하여 운동능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평가, 적용시키는 방법을 연구하여 축구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청소년 기술 지도법: C급과정 (Adolescent Soccer Training Coaching)
청소년 지도에 필요한 체계화된 훈련 시스템 및 개인 그리고 팀 전술 훈련과정을 습득하고 학습한다
축구 현장 실습 I (Football practice I)
교과 과정에서의 이론과 실습한 내용을 실제 현장에서 체험하고 적용시킴으로써 취업에 필요한 현장 감각과 실전 적응력을 배양하는데 목적이 있다.
축구 현장 실습 II (Football practive II)
실제 현장에서의 체험을 바탕으로 취업에 관한 적응력을 배양하고 취업과 연계될 수 있는 실전 능력을 배양하는 데 목적이 있다.
축구 경영론 (Soccer Management)
축구 경영론은 축구에 대한 이해와 경영에 대한 이해 그리고 축구 경영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경영환경의 의미를 파악하고 경영환경의 불확실성 및 경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축구 환경변화를 빠르게 이해하는데 있다.
축구전술 및 전략 (Soccer Strategy & Tactics)
팀의 포메이션이 갖는 전략적 가치를 파악하여 경기력 극대화 및 상대 팀의 전력을 제한 할 수 있는 과학적 분석 방법을 실습 경험한다.
축구 전술의 이해 (Understanding of Football Tactics)
축구경기에서 승리할 수 있는 요건 중 전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선수 구성 및 상대 팀 특성에 따라 전술을 응용할 수 있는 지식을 습득하여 축구에 대한 견해를 넓힐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운동 사회학 (Sociology of the exercise)
사회의 틀 속에서 인간의 활동과 생각에 대한 개념을 통한 운동의 사회학적 의미를 이해하고 확립함으로써 운동의 사회화 과정을 학습한다.
풋살 (Futsal)
축구의 여러 기술을 쉽게 이해하고 패스와 서포트 기술, 볼 소유의 사용과 발전, 빠른 움직임과 전술을 이해하는 폭넓은 관점을 가질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재활 트레이닝 (Rehabilitation Training)
운동 상해로 인한 근관절의 기능 저하를 이해하고 기능회복을 위한 다양한 재활운동을 실습함으로서 신체적 운동기능 발달과 증진을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을 인지할 수 있다.
응급처치와 테이핑 (First Aid & Taping)
축구는 실외에서 이루어지는 운동으로 계절적 환경과 시설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경기 혹은 훈련 중 경합에 의한 부상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응급처치에 대한 이해와 처치가 중요하다. 부상 예방을 위한 테이핑 또한 중요하다. 충분하지 않은 시간이지만 응급처치와 테이핑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학습한다.
신체 컨디셔닝과 훈련 (Conditioning & Exercise)
축구 경기의 경기력을 구성하는 요소는 체력, 전술, 기술, 심리의 4가지 영역으로 구분 할 수 있다. 이중 신체컨디셔닝과 훈련 수업은 축구 선수의 체력적인 측면을 다루는 교과목이며, 축구 대회 혹은 리그를 앞두고 어떻게 체력을 향상시키고, 유지 시키는 지에 대한 방법과 컨디션 조절 방법 등을 습득할 수 있다.
축구 주기화 훈련 프로그램 (Football Periodized Training Program)
유소년 선수를 지도할 때 어떻게 훈련 세션을 구성할지? 시기별로 훈련을 구성할 때 고려해야할 사항은 무엇이고 어떻게 구성할지? 경기를 통해 발생한 문제점을 어떻게 분석 할 것인지 그리고 해결하기 위해서 어떻게 훈련을 구성할 것인지? 등에 대한 방법을 습득한다.
축구 원리 (Football Principle)
축구원리는 축구학과의 가장 기초가 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축구에 대한 모든 것을 다루는 수업이라고 할 수 있다. 축구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고 기술, 전술, 심리, 체력 등을 습득하고 학습한다.
전공 기초 실습 I,II (Football Basic course Practice I,II)
축구의 다양한 분야에 관한 전반적인 이론과 개념을 학습한다. 각 분야별 전공교수님들과 전공분야에 관한 개념을 잡고 진로선택에서부터 취업에 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축구를 이해하고 기본 개념을 습득하는데 목적이 있다.
축구 전공 심화 실습 I,II,III ((Football Intensive Course Practice I,II,III)
축구의 전공별 분야를 전공교수와 함께 교과과정을 통해 학습한 부분을 현장실무에 적합한 다양한 상황에서 학습한다. 현장실습활동과 연계하여 전공분야별 심화학습 활동으로